Ch5. SLR: other topics

Author

김보람

Published

January 12, 2024

적합결여검정

  • 두 변수 x와 y 사이의 함수관계가 단순회귀모형

y=β0+β1x+ϵ,ϵN(0,σ2)

으로 표현되는 것이 적합한가의 검정방법

- 가설

  • H0:E(Y|X=x)=β0+β1x

  • H1:E(Y|X=x)β0+β1x

- 제곱합분해

  • SSE=i=1kj=1ni(yijy^i)2

  • y¯ij=1niyij/ni

- 검정

  • 검정통계량
F0=MSLFMSPEH0 F(n2,nk)

F0값이 작음 –> 모형적합이 잘 되었다.

  • 순오차평균제곱: MSPE=SSPEnk : 고정되어 있음. 회귀직선과 상관 없음

  • 적합결여평균제곱: MSLF=SSLFk2

  • f0=MSLFMSPE>Fα(n2,nk)이면 귀무가설 기각

두 회귀모형의 검정

- 완전 모형(full model)

yij=β0i+β1ixij+ϵij

i=1,2,j=j,2,,ni

ϵijN(0,σ2)

  • 모집단1: E(y1j|x1j)=β01+β11x1j

  • 모집단2: E(y2j|xj2)=β02+β12x2j

혹시… β01=β02 아니야? β11=β12 아니야? 하고 가설 세움

- 가설

H0:β01=β02 and β11=β12

H1:β01β02 or β11β12

- 축소 모형(reduced model)

yij=β0+β1xij+ϵij,

i=1,2,j=1,2,,ni

ϵijN(0,σ2)

  • β01=β02=β0,β11=β12=β1

(Step1) 완전모형의 잔차제곱합 SSE(F)를 구한다.

SSE(F)=SSE1+SSE2

SSEi=j=1ni(yijy^ij)2=j=1ni(yijβ^0iβ^1ixij)2,i=1,2

(Step2) 축소모형의 잔차제곱합 SSE(R)을 구한다.

SSE(R)=i=12j=1ni(yijy^ij)2=i=12j=1ni(yijβ^0β^1xij)2

(Step3) 검정통계량

F0=SSE(R)SSE(F)dfRdfF÷SSE(F)dfF

  • dfR=(n11)+(n21),dfF=(n12)+(n22)

  • F0F(dfrdfF,dfF)=F(2,n1+n24)

(Step4) 유의수준 α에서 F0>Fα(2,n1+n24)이면 H0기각

두 기울기의 비교

- 기울기 비교에 대한 가설

H0:β11=β12

H1:β11β12

- 검정통계량

t0=β^11β^12Var^(β^11β^12)H0 t((n12)+(n22))

- 두 표본이 독립이라고 가정하면

Var(β^11β^12)=Var(β^11)+Var(β^12)

=σ2(x1jx¯1)2+σ2(x2jx¯2)2=σ2Sxx+σ2Sxx

Var^(β^11β^12)=MSE(F)[1(x1jx¯1)2+1(x2jx¯2)2]

Weighted Regression

Quardratic form

- y의 이차형식(quadratic form)

yTAy=i=1naijyiyj=i=1naiiyi2+2i=1n1j=i+1naiiyiyj

  • yT=(y1,y2,,yn):n×1 vector

  • A=(aij): 이차형식 yTAy의 계수, n×n symmetric matrix

- 0n 이 아닌 모든 벡터 y에 대하여

  • yTAy>0A: 양정치(positive definite) 행렬

  • yTAy0A: 양반정치(positive definite) 행렬

  • yTAy<0A: 음정치(positive definite) 행렬

  • yTAy0A: 음반정치(positive definite) 행렬

Quadratic form: SST

Multivariate normal distribution

Multivariate normal distribution

비중심 χ2분포

distribution of quadratic form

  • A: 멱등행렬(idempotent matrix)

AA=A

<정리>

1.29 멱등행렬의 고유값은 또는 1이다

1.30 행렬 A가 rank(A) = k 인 멱등행렬일 때는

PTAP=Ek

를 만족하는 직교행렬 P가 존재한다. 여기서 Ek는 대각 원소 중 k개가 1, 나머지는 0인 대각행렬을 의미

1.31

뒤에 더 있음.. (pdf)